요통(디스크)에 대한 원인은 동의보감에서는 10종으로 나누어 설명을 하고 있는데 임상적으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고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원인별로 설명을 한다면 ~
1) 비위기허 脾胃氣虛 -> 자세의 불균형 -> 요통(디스크)유발 |
|
소화기계통이 약한 환자들의 경우 복압 腹壓 이 낮아지고 소위 배의 힘이 떨어지면서
허리도
같이 약해지게 된다. 식사후 항상 명치 끝이 더부룩하고 답답하여 자연적으로 자세가 앞으로
숙여지게 되어 척추가 건강한 S 자 라인을 유지하지 못하고 I 자형으로 되면서 자세가
점점
좌우중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것이 결국 디스크나 요통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마른 소음인형이 여기에 주로 속한다. 요통(디스크)외에도 만성위염, 식체, 트럼, 피로,
사지무력 등의 증상들이 수반이 되기도 한다. |
2) 한습요통 寒濕腰痛 |
|
하복이 한습 寒濕 하게 되면 허리가 무겁고 시리며 통증이 생기게 된다. 아랫배의 한습한
기운은 결국 뒤편에 있는 허리에 그대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차고 습한 기운이 허리에
무겁게
스며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근육의 경직은 물론 허리가 항상 물 한동이를 얹은 것 마냥
무겁고 아랫배에도 얼음장처럼 냉하고 뜬뜬하여 무엇이 차 있는 느낌이 있다. 살찐 소음인이나
한성태음인이 여기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
3) 신허요통 腎虛腰痛 |
|
몸이 항상 무겁고 피곤하며 전신이 나른한 피로증후군이 개선되지 않고 만성화 되면 그
피로가 허리로 쌓이게 되어 요통(디스크)을 유발시키게 된다. 사람의 몸에서 허리는 몸
전체의 하중을 부담하는 가장 중추적인 역활를 하는데 피로가 허리에 지속적으로 누적되게
되면 이것이 결국 요통, 디스크, 퇴행성관절염, 척추측만증 등의 허리 질환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는 실제적으로 척추에 구조적인 이상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허리를 눌러보면 통증을 민감하게 느끼는 압통점이 있고 전신증상으로는 만성피로 뿐만이 아니라
남성들의 경우에는 정력감퇴, 성기능 장애, 조루등의 양기부족증상도 많이 보이게 된다.
여성들의 신허요통은 자궁기능이 허한경우, 산후조리를 못한경우, 자궁 적출 등이 신허요통을
유발시킨다. 꼭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소양인의 경우 신허요통이 많다. |
4) 습열요통 濕熱腰痛 |
|
태음인에게 주로 해당되는 요통으로서 습과 열이 허리에 지속적인 피로를 누적시켜 결국
만성요통, 디스크를 유발시킨다. 태음인의 비만 또한 요통(디스크)의 큰 원인으로 작용을
한다.
태음인의 요통(디스크)은 빨리 치료를 안 해주면 무릎과 고관절에 퇴행을 가속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
5) 어혈요통 瘀血腰痛 |
|
최근 교통사고 환자, 타박이나 낙상이 있었던 환자들은 그 당시에는 구조적인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체내에 생성된 어혈로 인하여 나중에라도 요통이나 디스크가 생기게 되는 원인이
된다. 어혈요통의 환자들은 아픈부분이 일정하고 낮보다는 밤에 통증이 심하며 입이 마르는
증상들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
6) 담음요통 痰飮腰痛 |
|
평소 허리뿐만이 아니라 등의 전반에 걸쳐 결리면서 통증이 오는 경우가 담음요통에 해당이
된다. 담음요통 환자들은 하루는 아래쪽이 아프다가 어느 날은 더 위쪽이 아프기도 하며
상하로 넓게 통증이 이동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Stress에 노출이 많은 환자들이 담음요통이
많이 생기게 되고 가슴을 바늘로 찌르는 듯한통증, 가슴답답함 등의 가슴의 증상들이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
|